
-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이미지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경기일보DB
집중강우 시 상습적으로 침수되는 경기지역 4곳이 정부의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중점관리지역에는 하수관경 확대, 하수저류시설 및 빗물펌프장 설치 등의 조치가 행해진다.
기후환경에너지부는 29일 수원시 고색동, 부천시 역곡동, 안양시 석수동, 용인시 고림동 등 경기 4곳을 포함해 전국 17곳을 ‘2025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한다고 밝혔다.
경기 4곳의 경우 하수관로 통수능 부족 및 외수위 영향으로 인한 내수배제 곤란 등의 이유로 이번에 상습침수지역으로 지정됐다. 지난해까지 26곳이 지정돼 있던 경기는 이번 지정으로 총 30곳이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제도는 하수도법(제4조의3)에 따라 2013년 도입된 제도다. 집중강우 시 하수 범람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거나 발생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지정하고, 지자체가 침수 원인 해소를 위한 하수도 확충 사업을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국비를 지원한다.
올해는 전국 23개 지자체가 32개 지역에 대해 지정 신청을 했고, 기후부와 한국환경공단에서 서류검토 및 현장조사를 실시한 후 선정위원회에서 침수피해 정도와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17곳을 선정했다.
기후부는 올해 지정된 17곳에 총 8천300여억원을 투입해 하수관로 84㎞ 개량, 펌프장 22개 신·증설, 빗물받이 설치 등 하수도시설을 확충하고 침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계획이다.
조희송 기후부 물환경정책관은 “기후위기에 따른 국지성 집중강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도시침수 예방을 위한 하수도 정비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확대와 지속적인 하수도 확충 사업 추진으로 기후위기로 인한 집중강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 기사의 저작권은 「경기일보」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